큐돈은 COVID-19 바이러스로 인해 집에서 SNS나 하며 시간을 보내는 것을 권장하기 위해 이벤트를 실시합니다.
약 5000툿(팔로워 공개 이하 제외)마다 하나씩 추첨을 하여 툿의 주인에게는 5000원 상당의 상품권을 드립니다.
자세한 사항은 웹페이지를 https://qdon.space/covid-19 참고하시기 바랍니다
또한 업로드 가능한 최대 이미지 픽셀 수를 4096x4096에서 8192x8192로 완화했습니다.
역시 업로드 된 이미지는 1280x1280 면적으로 리사이징 됩니다.
리사이징 되는 크기를 완화하지 않는 이유는 어차피 외부 인스턴스로 전송 되면 다시 축소 되기 때문 입니다.
[Qdon 블로그의 새 글] SSH 로그인시 Email로 알림 보내기
https://blog.qdon.space/posts/2019/11/ssh-%EB%A1%9C%EA%B7%B8%EC%9D%B8%EC%8B%9C-email%EB%A1%9C-%EC%95%8C%EB%A6%BC-%EB%B3%B4%EB%82%B4%EA%B8%B0/
마스토돈 서버 목록에 등록을 하려면 권장사항 을 따라야 합니다.
오늘은 그 중에서도 “3. At least one other person with emergency access to the server infrastructure” “긴급상황시 서버 인프라에 접근 가능한 한 명 이상의 다른 인원이 있어야 한다” 항목을 더 안전하게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.
오늘은 세계 바이섹슈얼 가시화의 날이라고 합니다
https://www.timeanddate.com/holidays/world/celebrate-bisexuality-day
[Qdon 블로그의 새 글] 서버 상태 감시하기
https://blog.qdon.space/posts/2019/06/%EC%84%9C%EB%B2%84-%EC%83%81%ED%83%9C-%EA%B0%90%EC%8B%9C%ED%95%98%EA%B8%B0/
Github나 Twitter 같은 대형 서비스들은 서비스가 언제 장애가 났는 지 확인하기 위한 Status 페이지들이 있습니다.
마스토돈에선 어떻게 이를 설정하는 지 알아봅니다.
[Qdon 블로그의 새 글] 업데이트 알림 봇 제작
https://blog.qdon.space/posts/2019/05/%EC%97%85%EB%8D%B0%EC%9D%B4%ED%8A%B8-%EC%95%8C%EB%A6%BC-%EB%B4%87-%EC%A0%9C%EC%9E%91/
마스토돈 관리자(sysop)의 주요 일거리 중 하나는 마스토돈의 새 릴리즈가 나오면 업데이트를 하는 것입니다.
[Qdon 블로그의 새 글] 큐돈의 보안 설정
https://blog.qdon.space/posts/2019/04/%ED%81%90%EB%8F%88%EC%9D%98-%EB%B3%B4%EC%95%88-%EC%84%A4%EC%A0%95/
큐돈의 마스터는 보안 분야에 꽤나 오랜 시간 있었고 리눅스 서버 운영(sysop)도 십 년 넘게 하고 있습니다. 그 정도로 오래 발을 담그고 있다보니 남들이 보지 못하는 보안 취약점들을 발견하기도 합니다.
오늘은 큐돈을 운영하면서 어떤 보안조치를 취해 두었는지에 대해 기술적인 글을 써 보도록 하겠습니다.
[Qdon 블로그의 새 글] 큐돈의 이미지들
https://blog.qdon.space/posts/2019-04-06-assets-of-qdon/
큐돈엔 몇 가지 이미지들이 있습니다. 물론 다른 곳에도 없는 건 아닙니다. planet.moe의
같은 마스코트가 대표적인 예시죠. 오늘은 큐돈의 대표적인 이미지들이 무엇이 있고, 어떻게 만들어 졌는 지 알아보도록 합니다.
[Qdon 블로그의 새 글] 큐돈의 시작
https://blog.qdon.space/posts/2019-04-05-starting-of-qdon/
큐돈은 2017년 9월 29일에 처음으로 문을 열었습니다. 당시 마스토돈은 1.6.1 버전이었고 아직 OStatus 프로토콜을 같이 쓰던 시절이었죠.
Qdon 운영을 위한 기부: https://www.patreon.com/jarm